Search This Blog

Friday, August 01, 2025

책, 『테크노퓨달리즘 Technofeudalism』 by Yanis Varoufakis

「테크노퓨달리즘 Technofeudalism」 : 기술봉건주의라고 번역될 수 있는 이 용어는, 소수의 Big-Tech 기업들이 진입장벽이 높은 독점적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제적 이익을 독점하여 과거 봉건 사회의 영주처럼 권력을 휘두르고 플랫폼 사용자들이 그 플랫폼의 자발적 농노로 자처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저자 야니스 바루파키스 Yanis Varoufakis는 현 시대의 빅테크 기업들이 자본주의를 규정하는 두 기둥-'시장' 과 '이윤'-을 그들의 독점적 플랫폼과 클라우드 지대로 대체하고, 사용자들은 그들의 알고리즘에 길들여진 '자발적 노예'가 되어 전통적인 의미의 '자본주의'에서 '기술봉건주의(Technofeudalism)'의 체계로 전환되었다고 설명한다. 

"...내가 '클라우드 자본 cloud capital' 이라 부르는 자본의 돌연변이가 자본주의의 두 기둥인 시장과 이윤을 파괴해 버렸다는 사실을 알아채기란 어렵지 않다. 물론 시장과 이윤은 여전히 세상에 두루 퍼져 있디. 사실 시장과 이윤은 봉건제 하에서도 널리 퍼져 있었다. 그런데 지난 20여 년간 그 이윤과 시장이 우리 경제, 사회 체제의 중심에서 쫓겨나고 주변부로 밀려나 한계에 몰리더니 결국 대체되는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 무엇으로 대체되었을까? 자본주의의 매개체인 '시장 Market' 은 디지털 거래 플랫폼으로 대체되었다. 디지털 거래 플랫품은 마치 시장처럼 보이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차라리 (봉건시대의) '영지 fieldom'라 이해하는 편이 타당하다. 자본주의의 엔진인 '이윤'은 봉건시대의 할아버지라 할 수 있는 '지대 rent' 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특히 플랫폼과 클라우드에 더욱 폭넓게 접속하려면 내야하는 어떤 유형의 지대(rent) 가 있다. 나는 그것을 '클라우드 지대 cloud rent'라 부른다. 그 결과 공작기계, 건물, 철도, 전화망, 산업로봇 등 전통적인 자본의 소유자들은 오늘날 진정한 힘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들은 여전히 노동자의 임금 노동으로부터 이윤을 뽑아내지만 예전과 달리 지배자가 아니다... 전통적인 자본가는 클라우드 자본을 소유한 '신흥 봉건 영주 owners of cloud capital' 라는 새로운 계급의 가신이 되었다. 그 조차 되지 못하는 우리 대부분은 새로운 지배계급의 권력과 부에 무임금 노동으로 봉사하며, 기회가 주어질 때 간간히 임금 노동을 할 수 있는, 자본주의 이전 계급인 '농노'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자는 먼저 1장에서 자본주의를 규정하는 기본적인 특성인 상품-화폐-자본과 기술의 이중적 성격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2장에서는 '클라우드 자본'이 탄생하기 이전의 자본주의 역사에 대한 간략한 개괄, 클라우드 자본이 탄생하기 위한 조건인 테크노스트럭쳐와 인터넷의 역사를 짚어 본다. 3장에서는 인터넷이라는 공유지의 등장에서 부터 초기 자본주의에서 나타났던 토지 인클로저 Enclosure 현상에 빗댈 수 있는 인터넷의 사유화(Internet enclosure)와 기술(예, 알고리즘, AI 등)를 동원한 클라우드 자본의 형성과정을 돌아보고, 4장과 5장에서는 클라우드 자본의 출현에 따라 전통적 자본주의가 클라우드 영주-가신-농노 체계라는 테크노퓨달리즘으로 대체되는 과정과 그 구조를 분석한다. 6장에서는 현 세계의 두 양극인 미국과 중국의 전방위적인 경쟁과 갈등을 테크노퓨달리즘이라는 관점에서 조망하고, 7장에서는 테크노퓨달리즘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 . . . . . . . .

과연 저자의 주장대로, 과연 자본주의는 죽고 기술봉건주의(또는 그 용어가 무엇이건 자본주의가 아닌 다른 그 무엇)으로 대체되었나? 

이 문제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 시대의 경제/사회체제에 대해 우리 스스로가 명명하고 있는 "자본주의"란 무엇인가라는 정의와 규정에 따라 달라 수 있다고 본다. 

우리가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경제-사회체계는 '자본'을 중심으로 조직화되고 돌아가는 세계라는 인식이자 합의이다. 자본주의 본질이라는 것은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분석하였듯이 임노동-잉여가치-상품--화폐-자본이라는 개념틀을 가지고 설명할 수도 있지만. 역사상의 다른 경제-사회체계와의 비교를 통해서 정의할 수도 았다. 그 대상이 바로 자본주의 이전의 경제-사회체계인 봉건주의이다. 그 핵심은 과거 봉건영주의 독점적이고 절대적인 토지의 소유권에 따른 '지대 rent' vs, 서유럽 국가에 의한 전세계적인 식민지화와 산업혁명에 따른 산업자본에 의한 상품생산과 '이윤 profit' 에 있다. 이는 사회의 생산/재생산과 지배권력의 기반이 소수 귀족들의 봉토에 있느냐 아니면 자본에 의한 상품생산에 있느냐의 차이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BIg-Tech 기업 등의 클라우드 자본은 자본주의의 작동체계 보다는 과거 봉건적 지대경제 체계로 전환되었다라는 점에서 (전통적) 자본주의가 죽고 기술봉건주의로 대체되었다고 규정한다. 
. . . . . . . . . .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구성체를 자본주의로 명명할 것인가? 아니면 다른 그 무엇으로 명명할 것인가? 그 '무엇'에 대한 용어나 명명이 어느게 맞고 틀리다를 다투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라고 본다. 하지만 자본주의라는 것이 고정된 그 무엇이 아니라 끊임 없이 변화하고 전환 중이라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저자가 이야기 하는 클라우드 '자본'의 성격/특성에 대해서는 좀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가 이야기 하는 '클라우드 자본'의 특성 중에 지대경제적 성격이 있음에는 이견이 없다. 하지만 클라우드 자본이라는 것은 과거 오프라인 시대의 백화점 등과 같은 Local 유통업자들이 국지적 범위에서 취하던 상업 '지대'가 인터넷과 기술의 활용을 통한 온라인 유통업으로 전환되면서 Global 차원으로 확대/변환된 것일 뿐, 그 성격 자체가 다른 새로운 변종 자본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과연 자본의 위계질서에 변동이 있느냐 하는 점도 고려해 볼 요소이다. 산업자본에 대한 금융자본의 우위로 변화한 것은 맞는데, 과연 클라우드자본이 금융자본을 지배하는 것일까? 클라우드자본에 유통자본과 금융자본의 성격이 혼합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Big-Tech 기업으로 대변되는 클라우드자본이 금융자본의 우위에 있다라고 판단하기에는 성급한거 아닐까하는 생각이다. 

오히려 저자가 4장에서 언급하였듯이, '금융 초군주 financial uber-lords' 라는 BlackRock, Vanguard, State Street 의 Big 3 금융자본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중 90%가 넘는 기업의 대주주로서 실질적으로 미국 자본주의를 소유한 집단이라면, Technofeudalism 이라기 보다는 Financialfeudalism 이 더 적합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