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Thursday, April 10, 2025

책, 『양자역학의 역사』 by 데이빗 카이저

외계인 또는 30만년후의 인류와 소통하기,, posted at 11:00:55 2025/04/09

"로마 문자도 결국 2,600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갈 뿐이고, 인간이 가장 오래전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설형 문자도 그보다 불과 수천 년 전에 만들어졌을 뿐이다. 오직 분별없는 자만심만이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소통 방식이 30만 년 뒤에도 쓰일 것이라고 상상할 것이다" - <양자역학의 역사> 中 posted at 11:04:21  2025/04/09 "아이러니하게도, 이 라디오 강연에서 가모프의 프로그램을 설명하면서 호일 자신이 ‘빅뱅big bang’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애초에 이 말은 상대의 생각을 유치하게 표현해 무시받게 하려는 의도에서 나왔다" - <양자역학의 역사>, 데이비드 카이저 지음 / 조은영 옮김;; 슈뢰딩거의 고양이 꼴..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상대자를 비판하기 위해 도입한 예인데, 오히려 양자역학을 대변하는 대표적 우화가 되어버린 케이스. posted at 14:18:16 2025/04/09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물리학과 교실 안팎에서 가장 잘 알려진 양자역학의 사례임에도,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을 명확하게 하기보다는 비판하기 위해 그 고양이를 고안했다는 사실.." - <양자역학의 역사>, 데이비드 카이저 지음 / 조은영 옮김. posted at 10:16:25 2025/04/10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