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December 22, 2012

[철학의 개혁에 관한 예비명제 Vorlaeufige Thesen zur Reform der Philosophie] #04

 
[철학의 개혁에 관한 예비명제 Vorlaeufige Thesen zur Reform der Philosophie]
 - 1842, Ludwig Feuerbach, 이문출판사, 강대석 옮김, 1983년 - 



헤겔철학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은 신학도 포기하지 않는다. 자연과 실재성이 이념에 의해 설정된다는 헤겔의 이론은 자연이 신에 의해, 물질적 존재가 비물질적인 추상적 존재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신학이론의 합리적인 표현에 불과하다. 논리학 종장에는 절대적 이념이 신학적 창공에서 나온 스스로의 출처를 스스로의 힘으로 기록하기 위해 하나의 애매한 '결단'에까지 나아간다.

헤겔철학은 신학의 마지막 도피처이고 마지막 합리적 근거이다. 한때 실제로 가톨릭 신학자들이 프로테스탄트와 투쟁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가 된 것 처럼, 이제는 프로테스탄트 신학자들이 무신론과 싸우기 위해 문자 그대로 헤겔주의자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사유와 존재의 참된 관계는 다만 다음과 같다 ; 존재는 주어이고 사유는 술어이다. 사유는 존재로부터 생겨나나 존재는 사유로부터 생겨나지 않는다. 존재는 그 자체에 의해 그 자체로서 존재하며, 존재를 통해서만 주어지고 존재 그 자체 속에 근거를 갖는다. 왜냐하면 존재만이 감각, 이성, 필연성, 진리, 한마디로 모든 것 속의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존재는 비존재가 비존재는 즉 무이고 넌쎈스이기 때문에 존재한다. 

존재로서 존재의 본질은 자연의 본질이다. 시간적인 발생은 자연의 형상에까지 미치나 본질에 까지는 미치지 않는다.

존재는 사유와 존재의 참된 통일이 깨어지는 곳에서만 즉 우선 존재로 부터 그 영혼과 본질이 추상화됨으로써 박탈되고 나중에 다시 존재에서 박탈된 본질 속에 그 자치로 공허한 존재의 의미와 근거를 부여하는 곳에서만 사유에 의해 연역된다. 그것은 세계의 본질을 세계로부터 임의로 분리시키는 곳에서만 세계가 신으로부터 연력되는 것과 비슷하다.

소위 적극적인 철학자들처럼 철학의 독특한 실재원칙이 무엇인가를 사색하는 사람은,
    주위에 아름다운 푸른 초원이 있는데,
    나쁜 영靈에 이끌리어
    황량한 들을 방황하는 짐승과도 같다.
이 아름답고 푸른 초원은 자연과 인간이다. 왜냐하면 이 둘은 일치하기 때문이다. 자연을 보라. 인간을 보라! 여기서 그대들은 철학의 신비를 눈앞에 접하게 된다.

자연은 실존과 구분되지 않는 본질이고 인간은 실존과 구분되는 본질이다. 구분되지 않는 본질이 구분되는 본질의 근거이다. 그러므로 자연은 인간의 근거이다. 

새로운, 유일한 긍정적인 철학은 모든 강단철학의 부정이고(강단철학이 아무리 진리를 포함한다해도), 추상적이고 특수한 즉 스콜라적인 요소를 가진 철학의 부정이다 ; 그것은 암호도 없고, 특수한 언어도 없고, 특수한 이름이나 원리도 없다 ; 그것은 사고하는 인간 자신이다. 즉 존재하고, 스스로를 자연의 자의식적인 본질, 역사의 본질, 국가의 본질, 종교의 본질로서 이해하는 인간이다. 또 존재하고 스스로를(상상 속에서가 아니라) 실제로 모든 상반성과 모순성, 모든 능동적-수동적, 정신적-감각적, 정치적-사회적 요소들의 절대적인 동일성으로 이해하는 인간이다. 사변철학자나 혹은 신학자가 인간으로부터 분리해서 하나의 추상적인 본질로 대상화한 범신론적 본질이 결국 스스로의 규정되지 않는, 그러나 무한한 규정을 할 수 있는 본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아는 인간이다. 

새로운 철학은 합리주의와 신비주의, 범신론과 인격신론, 무신론과 유신론을 동시에 부정하는 것이며 이 모든 상반적인 진리의 통일이고 하나의 완전히 독자적이고 순수한 진리이다. 

새로운 철학은 이미 종교철학으로서 긍정-부정적으로 진술되어 왔다. 종교철학이 분석한 결론을 전제로 바꾸기만 한다면 곧 그 속에서 긍정적인 철학으 이눠리들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철학은 대중의 기호를 갈망하지 않는다. 자신을 확신하고 스스로의 존재를 가식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바로 그런 이유로 가장 중요한 관심 속에서 가상이 본질로, 환상이 현실로, 이름이 본체로 통용되는 우리 시대에 자기아닌 어떤 것이 도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 해서 상반성이 서로 보충되는 것이다! 무가 유로, 거짓이 참으로 통용되는 곳에서는 결과적으로 유가 무로 참말이 거짓으로 통용도지 않으면 안된다. 철학을 순전히 신문독자의 취미나 의견에 따라 구성하려는 전대미문의 시도가 나타날  때 - 익살스럽게도 철학이 결정적이고 보편적인 자기기만 활동속에서 파악되는 바로 그 순간에 - 역시 정직하고 기독교적인 방식으로 철학저서들을 아우구스부르크의 일간신문에서 독자 앞에 모욕을 줌으로써 반박하지 않으면 안된다. 아, 그러나 독일의 공적인 상황은 얼마나 정직하고 도덕적인가!
 

[철학의 개혁에 관한 예비명제 Vorlaeufige Thesen zur Reform der Philosophie]  #03
http://uquehan.blogspot.kr/2012/12/vorlaeufige-thesen-zur-reform-der_6960.html


[철학의 개혁에 관한 예비명제 Vorlaeufige Thesen zur Reform der Philosophie]  #05
http://uquehan.blogspot.kr/2012/12/vorlaeufige-thesen-zur-reform-der_7302.html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