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부. 표해록(漂海錄)

.
.
최부의 표해록에도 그렇구,, 다른 기행록에서도 나오는데,, 중국 지방관이나 지식인들이 "니들 나라에도 황제가 있냐?" 물어보면 조선의 사대부들은 어찌 그런 불경한 말씀을…놀라며 극구 부정함.
.
.
하늘에는 해가 둘일 수 없는데,, 어찌 한 하늘아래 두 황제가 있을 쏘냐,,, 우리는 성심으로 상국(중국)의 황제를 섬길뿐이오.

.
.
“작고”. “물고”. 1488년 경에는 “작고”라는 표현이 조선에는 흔치 않고, “물고”라는 표현을 썼다고. 최부도 “작고”라는 표현을 몰라 무슨 뜻이냐고 중국인에게 물어봄.

요즘은 “물고” 보다는 “작고”가 일반적. 물고는 점차 잊혀지고 남아 있는 표현은 약간 부정적 의미?,,, “물고를 당하다”,, “물고를 내다”...
.
.
최부의 표해록 읽다보니,, 항주에서 운하를 따라 북경까지 가는데,,, 중국의 오래된 운하 시스템. 참 대단한 듯... 테마여행으로 중국 운하 돌아보는 코스도 좋을 텐데, 돈과 시간이...
최부의 이동 경로.

.
.
하여튼 쪼장꼬장하기는 ;; “산천(山川)에 제사하는 것은 제후(諸侯)의 일이므로, 사서인(士庶人 일반인)이 된 사람은 조고(祖考)에게만 제사할 뿐이니, 조금이라도 그 분수에 지나치면 예절에 어긋난 일입니다",,;; 그런데 내가 용왕에게 절을 해야겠니?? http://db.itkc.or.kr/dir/nodeViewPop?dataId=ITKC_BT_1410A_0020_020_0100&upSeoji=ITKC_BT_1409A
.
.
No comments:
Post a Comment